본문 바로가기

KT 에이블스쿨 (6기)104

2-1. 공급망 관리 통계 및 머신러닝에 있어서 핵심이라는 생각이 드는 공급망에 대해서 배웠다.아무래도 기초 없이 바로 머신러닝을 배웠던 비전공자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통계기법 및 이론을 통한 교육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해당 강의는 서울대학교 문일경 교수님의 강의였으며, 우선 공급망에 대한 기본 개념 먼저 설명해주셨다. 1. 공급망의 개념- 공급망은 공급업체-제조업체-배송업체-소매업체-고객 순으로 Downstream으로 흘러간다.- 정확한 물품, 정확한 시간 등 수요와 공급을 맞추고 제품과 서비스의 수익성을 목표로 한다.-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이는 생산업체, 공급업체 뿐만 아니라 운송, 창고관리, 도매업체, 고객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제품 개발, 마케팅.. 2025. 7. 11.
1-3. AI 윤리 (AI 시대, 미래는 오지 않는다) 1. 디지털-AI 기술을 바라보는 두 시각- 어떤 혁신적인 기술이든 도입될 때는 항상 두 가지의 시각이 존대한다.적극 수용론전통 가치 수호론제3의 길새로운 시대에 빨리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디지털-AI 기술 활용 역량을 높여야 한다.전통적 가치를 훼손하기에 교육은 기존 가치를 지켜야 한다.두 견해 모두 기술과 교육의 관계를 수동적으로 보고 있다. 2. 과연 혁신적인 기술이 인간의 여가 시간을 늘려줄까?- 결론은 No이다.- 존 메이나드 케인즈의 1928년 이라는 논문에서는 몇십년내로 과학기술의 진보로 주당 15시간만 일하면서 여가를 어떻게 보낼지 고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말 정말 바라던 바지만, 정말 정말 틀린 의견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들 수가 있다.- 세탁기의 발명과 보급이.. 2025. 7. 3.
1-1. AI 윤리 ('낯선 지능'과 함께 살아가기) AI를 배우기 이전, 파이썬 코드 짜는데, 프로젝트 진행하는데만 신경을 썼지 AI 윤리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다.이전에 직장 다녔을 때, 직원들 대상 ChatGPT 사용 방법 알려주면서 마지막에 언급한 윤리 조항에 대해서 인지는 했었지만, AI 윤리가 앞으로의 AI 미래에 있어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심각성을 몰랐다. 이번 LG Aimers의 첫 강의로, AI 윤리에 대해 공부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A. 인공 신경망 기반 AI 원리AI의 원리 중 가장 기본인 것은 인공 신경망 형태=> 계산 단위인 노드는 인간이 이해하기 어려운 '숫자'로 이루어져있고, 다양한 파라미터가 이 숫자들의 계산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다.- 결과물은 우쨌든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형.. 2025. 7. 3.
1-2. AI 윤리 (원칙에서 행동으로) 1. AI 윤리란 무엇일까?A. UNESCO on AI Ethics- UNESCO의 AI 윤리 논의는 다른 기관에서의 윤리 논의에 비해 포괄적이고 근본적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왤까?- 기관의 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인간 존엄성', '프라이버시, 공정성, 투명성',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 특히 OECD나 EU 같이 선진국 중심의 논의 구조가 아닌 193개국이 참여(개발국, 비서구권 포함)하는 범세계적인 기구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술 중심이 아닌 가치 중심이기 때문에, 그 기술에 대해서 보다는, 그 기술이 인간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봐야한다는 관점이다.- 즉, AI를 어떤 기술로 분류할지 보다 AI가 인류와 사회에 어떤 가치를 실현해야 하는가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AI 윤리틀을.. 2025. 7. 3.